반응형
서울 동북권에 올해 첫 한파경보가 발효됨에 따라 서울시가 25시간 상황관리체계에 돌입한다.
입춘 앞두고 한파경보…24시간 상황관리체계 돌입
3일 오후 9시 기준 서울 동북권에 올해 첫 한파경보가, 나머지 지역(동남권·서남권·서북권)에는 한파주의보가 동시에 발효됨에 따라 서울시가 한파 종합지원상황실을 가동하고 자치구 및 유관기관과 협력해 시민보호 등을 위한 24시간 상황관리체계에 돌입한다.
한파특보 발효 기준
한파주의보 | 1.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0℃ 이상 하강해 3℃ 이하이면서 평년값보다 3℃ 이상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2. 아침 최저기온 -12℃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3.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
한파경보 | 1.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5℃ 이상 하강해 3℃ 이하이면서 평년값보다 3℃ 이상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2. 아침 최저기온 -15℃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3.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
한파특보 발효에 따라 서울시와 25개 자치구는 한파 종합지원상황실을 가동하고 3일 오후 9시부터 24시간 비상근무에 돌입한다.
서울시 한파 종합지원상황실은 한파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황총괄반, 생활지원반, 에너지복구반, 의료방역반, 구조구급반, 교통대책반, 시설복구반, 재난홍보반으로 구성해 운영된다.
시는 한파로 인한 인명피해가 없도록 돌봄이 필요한 취약 어르신에게 전화해 안부를 확인하고, 미수신 시 방문해 안전을 확인한다.
저소득 어르신에게는 도시락‧밑반찬 배달을 지원하고, 거리 노숙인에게는 응급잠자리 제공하며, 상담과 순찰을 통해 방한용품 등을 지급한다. 건강이 취약한 쪽방주민의 안부를 상시 확인하고 생활용품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시 한파 종합지원상황실은 한파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황총괄반, 생활지원반, 에너지복구반, 의료방역반, 구조구급반, 교통대책반, 시설복구반, 재난홍보반으로 구성해 운영된다.
시는 한파로 인한 인명피해가 없도록 돌봄이 필요한 취약 어르신에게 전화해 안부를 확인하고, 미수신 시 방문해 안전을 확인한다.
저소득 어르신에게는 도시락‧밑반찬 배달을 지원하고, 거리 노숙인에게는 응급잠자리 제공하며, 상담과 순찰을 통해 방한용품 등을 지급한다. 건강이 취약한 쪽방주민의 안부를 상시 확인하고 생활용품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중구청(1층) 한파 대피공간 조성 및 난방용품 비치(텐트, 침낭, 난방기 매트 등)
중랑구청(지하 1층) 한파 대피공간 조성 및 난방용품 비치(침대, 담요, 의자 등)
특히 이번 특보기간부터는 25개 자치구청사 내 조성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던 ‘한파쉼터’를 한파특보(주의보‧경보) 발효 기간 동안 24시간 개방하는 ‘한파 응급대피소’로 확대 운영한다.
야간에 추위를 피할 곳이 마땅치 않은 한파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자치구별로 독립된 공간에 난방기‧침낭‧담요 등 난방용품을 추가로 구비해 빈틈없이 운영할 수 있도록 지난달까지 조성을 완료했다. ☞ 자치구별 한파 응급대피소 현황
구분한파쉼터한파 응급대피소
아울러 시민들이 건강관리에 유의하도록 시민행동요령을 사회관계망(SNS)을 통해 안내한다. 서울시 재난안전정보 포털 ‘서울안전누리’를 통해 실시간 재난속보 및 가까운 한파쉼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야간에 추위를 피할 곳이 마땅치 않은 한파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자치구별로 독립된 공간에 난방기‧침낭‧담요 등 난방용품을 추가로 구비해 빈틈없이 운영할 수 있도록 지난달까지 조성을 완료했다. ☞ 자치구별 한파 응급대피소 현황
25개 자치구청사 한파 대피공간 운영
운영배경 | 한파에 취약한 시민 보호 시설 | 야간 등 한파쉼터 이용 곤란시 대안 시설 |
운영기간 | 한파대책 기간(11. 15. ~ 다음해 3. 15.) | 한파특보 발효 시 24시간 이용 가능 |
운영시간 | 9:00~18:00 ※ 강북구청 24시간 |
24시간 |
지정기준 | 시민 자주 이용 + 쉽게 접근 가능한 곳 | 자치구별 최소 1개소 이상 |
아울러 시민들이 건강관리에 유의하도록 시민행동요령을 사회관계망(SNS)을 통해 안내한다. 서울시 재난안전정보 포털 ‘서울안전누리’를 통해 실시간 재난속보 및 가까운 한파쉼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동파 경계단계 발령…한파 시 물 틀어 동파예방
한편, 서울시는 4일 오전 9시부터 6일 오후 6시까지 2월초 한파에 대응해 수도계량기 ‘동파 경계’ 단계를 발령한다. 동파 경계는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의 수도계량기 동파예보제 중 3단계에 해당하며, 일 최저 기온이 영하 10℃ 미만의 날씨가 이틀 이상 지속될 때 발령된다.
이번 겨울 동안 11월 15일부터 현재까지 총 838건의 수도계량기 동파가 발생했으며, 그 중 지난 1월 동파 경계 발령 전후(1.9.~1. 13. 5일간) 전체 동파의 60%인 499건의 동파가 발생했다.
영하 10℃ 이하의 기온이 이틀 이상 지속되면 계량기함을 보온했더라도 동파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야간이나 외출 시에 수돗물을 가늘게 틀어 계량기 안에 물이 지속적으로 흐르도록 한다면 동파를 예방할 수 있다.
공사장에서는 수돗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도계량기 밸브를 잠그고 배관 연결부와 계량기 후단을 분리한 후 물을 빼 계량기 내부를 비워 둠으로써 동파를 예방할 수 있다.
각 가정에서는 수도계량기 유리부가 깨지거나 부풀어 오르는 등 동파가 의심될 때는 상수도 민원상담 채팅로봇(챗봇) 아리수톡, 서울시 다산콜재단(02-120) 또는 관할 수도사업소로 신고하면 된다.
이번 겨울 동안 11월 15일부터 현재까지 총 838건의 수도계량기 동파가 발생했으며, 그 중 지난 1월 동파 경계 발령 전후(1.9.~1. 13. 5일간) 전체 동파의 60%인 499건의 동파가 발생했다.
영하 10℃ 이하의 기온이 이틀 이상 지속되면 계량기함을 보온했더라도 동파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야간이나 외출 시에 수돗물을 가늘게 틀어 계량기 안에 물이 지속적으로 흐르도록 한다면 동파를 예방할 수 있다.
공사장에서는 수돗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도계량기 밸브를 잠그고 배관 연결부와 계량기 후단을 분리한 후 물을 빼 계량기 내부를 비워 둠으로써 동파를 예방할 수 있다.
각 가정에서는 수도계량기 유리부가 깨지거나 부풀어 오르는 등 동파가 의심될 때는 상수도 민원상담 채팅로봇(챗봇) 아리수톡, 서울시 다산콜재단(02-120) 또는 관할 수도사업소로 신고하면 된다.
수도계량기 동파예방 안내
한파 대비 시 챙겨보면 좋은 정보
출처:서울특별시, 내 손안에 서울
반응형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한기후로 작업 중지 시 건설근로자에 '안심수당' 지급 (0) | 2025.02.04 |
---|---|
마포 레드로드에서 사라지는 '이것'? 길거리 안전 위해 나부터 실천! (0) | 2025.02.04 |
광화문광장 상징조형물 공모 수상작 공개! '감사의 빛 22' (0) | 2025.02.04 |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요건 완화…11,000가구 지원 (0) | 2025.02.04 |
첫 돌 맞은 기후동행카드! 이벤트 참여하면 선물 와르르~ (1)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