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포스터
‘서울형 가사서비스’가 3년 차를 맞아 개선방안을 마련, 이용 가정의 편의를 크게 향상합니다. 올해는 25개 전 자치구에서 총 11,000가구를 지원합니다. 대상은 중위소득 180% 이하면서, 12세 이하 자녀가 있는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이며, 가족돌봄 공백이 발생한 가구는 우선적으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형 가사서비스’의 자세한 내용을 살펴봅니다.
서울시가 올해부터 육아와 가사노동에 지친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에 무료로 집안일을 도와주는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대상을 중위소득 150% 이하에서 180% 이하로 완화해 지원 문턱을 낮췄다.
또한, 가정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 방식도 횟수 차감(총 10회)이 아닌 총 70만 원 한도 내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골라서 자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이용할 수 있는 업체도 기존에는 권역별로 지정된 업체만 이용할 수 있었다면, 올해부터는 서울 전역에서 모든 업체를 권역과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지원 가정은 연 70만 원 상당의 바우처를 신용(체크)카드로 받을 수 있으며, 서울맘케어 누리집에서 제공기관으로 선정된 32개 업체의 서비스를 직접 선택해 이용하면 된다.
이용할 수 있는 가사서비스는 거실·주방·화장실·안방 등의 청소, 설거지, 세탁, 쓰레기 배출 등이다. 종전에는 정리수납 등 일부 서비스가 제한됐으나 총액 내 사용방식에서는 업체별 특화 서비스 형태로 다양하게 제공된다.
업체별 전문 서비스 제공 관련내용은 서울맘케어 누리집 내 연결된 업체별 누리집이나 연락처를 통해 안내 받을 수 있다.
또한, 가정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 방식도 횟수 차감(총 10회)이 아닌 총 70만 원 한도 내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골라서 자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이용할 수 있는 업체도 기존에는 권역별로 지정된 업체만 이용할 수 있었다면, 올해부터는 서울 전역에서 모든 업체를 권역과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지원 가정은 연 70만 원 상당의 바우처를 신용(체크)카드로 받을 수 있으며, 서울맘케어 누리집에서 제공기관으로 선정된 32개 업체의 서비스를 직접 선택해 이용하면 된다.
이용할 수 있는 가사서비스는 거실·주방·화장실·안방 등의 청소, 설거지, 세탁, 쓰레기 배출 등이다. 종전에는 정리수납 등 일부 서비스가 제한됐으나 총액 내 사용방식에서는 업체별 특화 서비스 형태로 다양하게 제공된다.
업체별 전문 서비스 제공 관련내용은 서울맘케어 누리집 내 연결된 업체별 누리집이나 연락처를 통해 안내 받을 수 있다.
서울형 가사서비스 소득기준을 중위소득 180% 이하로 완화해 올해 총 11,000가구를 지원하며, 예산 소진시까지 신청 가능하다.
신청은 지난 20일 시작했으며 예산 소진시까지 계속된다. 서비스 이용은 선정된 날부터 11월 말까지 사용해야 하며, 연내 소진하지 못한 서비스는 이월되지 않고 소멸되는 만큼, 해당 기간 내에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신청은 서울맘케어에서 할 수 있다.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내용과 신청자격, 유형별 구비서류는 서울맘케어 및 서울시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신청이 접수되면 자격확인 및 우선순위 등 심사절차를 거쳐 이용자를 선정하며, 선정 결과는 신청자에게 개별 통보된다.
신청은 서울맘케어에서 할 수 있다.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내용과 신청자격, 유형별 구비서류는 서울맘케어 및 서울시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서울형 가사서비스 신청방법
이용자(지원 신청) | 온라인 신청(서울맘케어) |
↓ | |
서울맘케어 시스템 (자격 확인) |
동주민센터 자격확인 및 구청 지급결정, 카드사에 결과 전송 |
↓ | |
카드사(지급) | 포인트 지급/카드제작·발송 |
↓ | |
이용자(사용) | 업체선택, 카드사용(결제) |
↓ | |
제공업체(서비스) | 서비스 제공 |
신청이 접수되면 자격확인 및 우선순위 등 심사절차를 거쳐 이용자를 선정하며, 선정 결과는 신청자에게 개별 통보된다.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사업
○ 지원대상 : 서울거주 중위소득 180% 이하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
- (임산부) 임신 3개월 ~ 출산 후 1년 이내 가구
- (맞벌이) 주 20시간 이상 근로하고 12세 이하(2012. 1. 1. 이후 출생) 자녀 양육
- (다자녀) 18세 이하(2006. 1. 1. 이후) 자녀가 2자녀 이상, 단 12세 이하 자녀가 반드시 1명 있어야 함
○ 지원규모 : 약 11,000가구 지원 (자치구별 상이)
○ 지원내용 : 1가정당 연 70만 원 상당 바우처를 신용(체크)카드에 지급
○ 사용방법 : 서울형 가사서비스 제공기관으로 선정된 업체에 바우처 결제, 차감
※ 이용자가 제공기관으로 선정된 업체(32개 업체) 직접 선택
○ 신청기간 : 2025. 1. 20. 9:00 ~ 예산소진시
○ 신청방법 : 서울맘케어 누리집 통한 온라인 신청
※ 기존 신청시스템유지관리 미실시 및 바우처 시스템 서울맘케어로 통합운영
○ 신청결과 통보 : 선정시 개별 문자 통보
○ 문의 : 다산콜센터 02-120
- (임산부) 임신 3개월 ~ 출산 후 1년 이내 가구
- (맞벌이) 주 20시간 이상 근로하고 12세 이하(2012. 1. 1. 이후 출생) 자녀 양육
- (다자녀) 18세 이하(2006. 1. 1. 이후) 자녀가 2자녀 이상, 단 12세 이하 자녀가 반드시 1명 있어야 함
소득기준
(중위소득)가구원수별 소득기준 금액(월평균 소득)2인3인4인5인6인7인
(중위소득)가구원수별 소득기준 금액(월평균 소득)2인3인4인5인6인7인
180% 이하 | 7,079,000원 | 9,046,000원 | 10,976,000원 | 12,795,000원 | 14,517,000원 | 16,180,000원 |
○ 지원내용 : 1가정당 연 70만 원 상당 바우처를 신용(체크)카드에 지급
○ 사용방법 : 서울형 가사서비스 제공기관으로 선정된 업체에 바우처 결제, 차감
※ 이용자가 제공기관으로 선정된 업체(32개 업체) 직접 선택
○ 신청기간 : 2025. 1. 20. 9:00 ~ 예산소진시
○ 신청방법 : 서울맘케어 누리집 통한 온라인 신청
※ 기존 신청시스템유지관리 미실시 및 바우처 시스템 서울맘케어로 통합운영
○ 신청결과 통보 : 선정시 개별 문자 통보
○ 문의 : 다산콜센터 02-120
출처:서울특별시, 내 손안에 서울
반응형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이 꽁꽁~ 한파특보에 24시간 상황실·응급대피소 운영 (0) | 2025.02.04 |
---|---|
광화문광장 상징조형물 공모 수상작 공개! '감사의 빛 22' (0) | 2025.02.04 |
첫 돌 맞은 기후동행카드! 이벤트 참여하면 선물 와르르~ (1) | 2025.02.03 |
올해도 저출생 극복!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 시즌2' 본격 가동 (0) | 2025.02.01 |
나혼자 여행한다! 서울, 홀로 여행하기 좋은 도시 1위 선정 (0)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