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i10 AI 기술이 궁금하다면? 양재 '서울 AI 허브' 탐방기 양재동 일대에 조성된 ‘서울 AI 허브’ 메인센터 ©최수진대화형 인공지능 챗(Chat)GPT가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곧 일상생활 속에서도 자연스럽게 사용될 것이라 주목받고 있는 AI 기술! 미래를 위해 AI 산업육성과 AI 인재양성 중요도가 커진 요즘, 지난해 11월 28일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일대가 지역특화발전특구 최초로 ‘AI 특구’로 지정됐다.양재동 일대는 삼성전자, 현대, LG, KT 등 대기업 연구소와 중소기업 부설 연구소가 모여 있는 지역으로 ‘AI 특구’ 지정으로 특허법, 출입국관리법 등 6개 규제에 대한 특례 적용과 특구 활성화를 위한 15개 특화 사업이 5년간 추진될 예정이다. ☞ [관련 기사] 양재 40만㎡ 일대 'AI 특구'로 지정! 글로벌 기업·인재 유입 서울 AI 허브 .. 2025. 2. 5. 전통시장 사과 가격 궁금해! 생성형AI 적용 '서울데이터허브' 정식 오픈 AI로 복잡한 데이터를 쉽게 이해하고,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서울의 다양한 측면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서울데이터허브’ 서비스가 공식 오픈했다. 사진은 자연어로 검색한 일상적 표현 사례.서울시가 전국 지자체 최초로 자연어 기반 대시민 공공데이트 서비스인 ‘서울데이터허브’를 공식 오픈했다.서울데이터허브는 ‘열린데이터광장’을 운영하며 축적한 데이터 서비스 노하우에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전 세계 주요 대도시 데이터 서비스와도 차별화했다. 2012년부터 운영해온 열린데이터광장에는 8,100여건의 데이터들이 축적돼 있다.서울데이터허브 AI 챗봇 첫 화면서울데이터허브의 가장 큰 특징은 데이터 활용법을 모르는 초보자부터 데이터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시민이 데이터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 2025. 2. 1. CES 2025를 주목하라! 역대 최대·최다 '서울통합관' 운영 서울시는 내년 ‘CES 2025’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서울통합관’을 운영한다.서울시가 세계 최대 가전·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인 ‘CES’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서울 소재 첨단 스타트업 전시관 ‘서울통합관’ 운영에 나선다. 시가 CES에 참가한 이후 가장 큰 규모이며, 전시에 참여하는 서울 소재 혁신기업, 혁신상 수상기업 수도 역대 최다다.시는 내년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의 스타트업 전문 전시관 ‘유레카(Eureka Park)’에서 전년 대비 50% 이상 확대된 1,040㎡(약 315평) 규모의 서울통합관을 조성할 방침이다.시는 CES 2025를 통해 창업 생태계의 결집된 역량을 바탕으로 첨단 기술 도시인 서울의 AI, 라이프스타일, 헬스케어 등의.. 2024. 12. 10. 성큼 다가온 미래 도시 스마트 서울을 누려요! 로봇과 친구가 되고, 자동차가 하늘을 나는 미래 도시는 얼마만큼 왔을까?사람처럼 기억하고 판단·추리할 수 있는 인공 지능 기술은 이미 생활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우리의 건강 관리를 돕고, 안전한 생활은 물론, 역사적 인물과 대화도 할 수 있다.부쩍 가까워진 미래 기술을 서울에서 경험해 보자.자유자재로 움직이며 인사도 하는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의 로봇개안녕! 로봇 바리스타, AI 바둑서울시청 1층에 가면 로봇이 15년 경력의 바리스타 비법에 따라 음료를 만드는 로봇 카페를 만날 수 있다. 손님이 주문한 음료를 받아 들면 로봇이 손을 흔들며 인사도 한다.사진_ 내손안에서울 시민기자 최용수아빠를 따라 서남권 디지털동행프라자에 가서 “바둑·오목”을 두었어요.실력에 맞춰 레벨을 선택할 수 있었어요.장수.. 2024. 11. 13.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