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4.21.~5.2.까지 각 자치구에 신청서 접수

서울시가 집수리 공사비용을 일부 지원하는 ‘안심 집수리 보조사업’에 참여할 가구를 모집한다.
취약가구 우선 지원…집수리 공사비 50~80% 보조금 지원
서울시가 저층 노후주택 거주자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집수리 공사비용을 일부 지원하는 ‘안심 집수리 보조사업’에 참여할 가구를 모집한다.
지원 대상은 서울시 전역 10년 이상 된 저층주택 중 ▴중위소득 이하인 주거 취약가구가 거주하는 주택 ▴반지하 주택 ▴불법건축물 기준이 해소(양성화)된 옥탑방 ▴주택성능개선지원구역 내 20년 이상 된 주택 등이다.
지원 대상은 서울시 전역 10년 이상 된 저층주택 중 ▴중위소득 이하인 주거 취약가구가 거주하는 주택 ▴반지하 주택 ▴불법건축물 기준이 해소(양성화)된 옥탑방 ▴주택성능개선지원구역 내 20년 이상 된 주택 등이다.
2025년 안심 집수리 보조사업
○ 사업내용: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집수리 비용 보조
○ 접수기간: 2025. 4. 21. ~ 5. 2.
○ 접 수 처: 자치구 담당부서
○ 제출서류: 안심 집수리 보조사업 참여 신청서 및 첨부서류 ☞모집공고 바로가기
○ 접수기간: 2025. 4. 21. ~ 5. 2.
○ 접 수 처: 자치구 담당부서
○ 제출서류: 안심 집수리 보조사업 참여 신청서 및 첨부서류 ☞모집공고 바로가기
지원내용은 ▴단열·방수·창호·설비 등 내부 성능개선을 위한 집수리 ▴침수·화재 방재 등 안전시설 설치 ▴내부 단차 제거·안전 손잡이 등 편의시설 설치공사 등이다.
주거 취약가구가 거주하는 주택은 공사비의 80%, 최대 1,200만원, 반지하 주택은 공사비의 50%, 최대 600만원, 옥탑방 또는 주택성능개선지원구역 내 주택의 경우 공사비의 50%, 최대 1,200만원까지 집수리 보조금을 지원한다.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가구는 주택이 소재한 자치구 담당부서에 구비서류(신청서 및 견적서, 공사 계획서 등 첨부서류)를 준비하여 4월 21일부터 5월 2일까지 제출하면 된다. 공고문 및 신청서 양식은 집수리 닷컴 누리집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거 취약가구가 거주하는 주택은 공사비의 80%, 최대 1,200만원, 반지하 주택은 공사비의 50%, 최대 600만원, 옥탑방 또는 주택성능개선지원구역 내 주택의 경우 공사비의 50%, 최대 1,200만원까지 집수리 보조금을 지원한다.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가구는 주택이 소재한 자치구 담당부서에 구비서류(신청서 및 견적서, 공사 계획서 등 첨부서류)를 준비하여 4월 21일부터 5월 2일까지 제출하면 된다. 공고문 및 신청서 양식은 집수리 닷컴 누리집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원 및 결정 단계
지원 신청 | ➜ | 검토 / 현장조사 | ➜ | 심의 상정 | ➜ | 보조금 심의 | ➜ | 결과 통보 |
견적서, 공사전 사진 등 포함 신청서 제출 (신청인→자치구) |
제출 서류검토 및 사전 현장조사 (자치구, 전문관) |
현장조사 의견보완 및 심의 상정 (자치구→시) |
대상자 선정 및 지원 금액 확정 (시) |
심의결과 통보 및 보조금 재배정 (시→자치구) |
공사 및 지급 단계
착수 신고 | ➜ | 중간 점검 | ➜ | 완료 신청 | ➜ | 검토 / 현장조사 | ➜ | 보조금 지급 |
착수신고서 제출 및 공사시행 (신청인→자치구) |
공사 중 현장 표본점검 실시 (자치구 필요시) |
공사 완료 신청서 제출 (신청인→자치구) |
제출서류 검토 및 준공 현장조사 (자치구, 전문관) |
보조금 지급 (자치구→신청자) |
공사 계획과 시공업체 선정 등 사업 참여 준비 과정에서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집수리 닷컴 홈페이지에서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를 신청하면 무료 상담도 가능하다.
시는 기초생활수급자 등 주거 취약가구에 안심 집수리 보조금을 우선 지원하고, 그 외 신청자의 경우에는 주택 노후도, 지원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서울시 지방보조금관리위원회 심의를 통해 지원 대상을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아울러, 세입자가 있는 주택의 경우에는 임차료 상생 협약서를 체결하고 4년 동안 임차료 동결 및 거주기간 보장을 조건으로 지원하여 임차인이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누리집 : 서울시 집수리 닷컴
시는 기초생활수급자 등 주거 취약가구에 안심 집수리 보조금을 우선 지원하고, 그 외 신청자의 경우에는 주택 노후도, 지원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서울시 지방보조금관리위원회 심의를 통해 지원 대상을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아울러, 세입자가 있는 주택의 경우에는 임차료 상생 협약서를 체결하고 4년 동안 임차료 동결 및 거주기간 보장을 조건으로 지원하여 임차인이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누리집 : 서울시 집수리 닷컴
출처:서울특별시, 내 손안에 서울
반응형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콘의 꿈 이뤄드림! AI·디자인·의료 등 스타트업 창업지원 (1) | 2025.04.07 |
---|---|
봄에 가기 딱 좋아! '한양도성 순성길' 최애 코스 찾아볼까? (1) | 2025.04.05 |
유니콘의 꿈 이뤄드림! AI·디자인·의료 등 스타트업 창업지원 (1) | 2025.04.05 |
석촌호수 벚꽃축제가 돌아왔다! 벚꽃나무 아래서 추억 한 장 '찰칵' (1) | 2025.04.03 |
'꽃궁궐' 창덕궁에도 홍매화가! 왕실의 정원으로 떠나는 봄 나들이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