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blog.kakaocdn.net/dn/csNeGG/btsMeAgKytA/xSXfQBVshlz5k21xJnXu60/img.png)
서울시는 원수부터 가정까지 수질검사 항목을 확대해 엄격한 수질관리를 실시한다. 사진은 서울물연구원에서 아리수 수질검사를 하는 모습.
서울시가 국내 최다 항목의 수질검사로 더욱 엄격하고 꼼꼼한 수질관리에 나선다.
올해 법적으로 규제하지 않은 미규제 물질 5개 항목을 추가해 총 357개 항목으로 수질검사를 강화한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166개 항목보다 2배 이상, ‘먹는물 수질기준’보다 6배 많은 국내 최고 수준이다.
시는 법정 검사 항목이 아니더라도 매년 시민의 관심이 높거나 사회적인 이슈 등으로 관리가 필요한 물질을 ‘미규제 신종물질’로 선정해 선제적으로 검사를 강화하고 있다. 올해도 의약물질, 산업용 화학물질 등 5개 항목을 추가해 총 185항목을 검사하고 있다.
올해 추가된 ‘미규제 신종물질’ 5항목은 의약물질(고혈압 및 심부전 치료제)인 ‘텔미사르탄’과 ‘발사르탄’, 산업용 화학물질(간, 신장 면역체계 영향물질)인 ‘과불화펜탄술폰산’과 ‘과불화헵탄술폰산’, 조류독소인 ‘BMAA(남조류 유래 신경독소)’이다.
아리수의 취수원인 한강의 수질도 꼼꼼하게 감시한다. 5개 취수장에서 취수하는 원수는 법정 검사 항목인 38개보다 8배 많은 335개 항목을 철저하게 검사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한강 본류뿐만 아니라 지류천까지 16개 지점에 대해 31개 항목을 검사하고 있다.
올해 법적으로 규제하지 않은 미규제 물질 5개 항목을 추가해 총 357개 항목으로 수질검사를 강화한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166개 항목보다 2배 이상, ‘먹는물 수질기준’보다 6배 많은 국내 최고 수준이다.
시는 법정 검사 항목이 아니더라도 매년 시민의 관심이 높거나 사회적인 이슈 등으로 관리가 필요한 물질을 ‘미규제 신종물질’로 선정해 선제적으로 검사를 강화하고 있다. 올해도 의약물질, 산업용 화학물질 등 5개 항목을 추가해 총 185항목을 검사하고 있다.
올해 추가된 ‘미규제 신종물질’ 5항목은 의약물질(고혈압 및 심부전 치료제)인 ‘텔미사르탄’과 ‘발사르탄’, 산업용 화학물질(간, 신장 면역체계 영향물질)인 ‘과불화펜탄술폰산’과 ‘과불화헵탄술폰산’, 조류독소인 ‘BMAA(남조류 유래 신경독소)’이다.
아리수의 취수원인 한강의 수질도 꼼꼼하게 감시한다. 5개 취수장에서 취수하는 원수는 법정 검사 항목인 38개보다 8배 많은 335개 항목을 철저하게 검사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한강 본류뿐만 아니라 지류천까지 16개 지점에 대해 31개 항목을 검사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0us09/btsMfXPmenJ/l6zi4rSWX1cVeIuj5KU7dk/img.png)
올해 아리수 수질검사 항목은 국내 최다인 357개다. 이는 WHO 권장 항목의 2배 이상이며, ‘먹는물 수질기준’ 6배 수준이다.
한편 시는 최고 수준의 수질관리뿐 아니라 물맛에 영향을 미치는 냄새까지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다. 냄새 없는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맛·냄새 물질 경보제’를 운영해 상수원에서 맛·냄새를 유발하는 물질 증가 시, 자체 경보발령 후 고도정수처리를 강화해 선제 대응한다.
‘맛·냄새 물질 경보제’는 상수원에서 곰팡이 냄새를 유발하는 2-메틸이소보르네올(2-MIB)과 흙냄새를 유발하는 지오스민(Geosmin)의 발생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경보를 발령하게 된다.
관리기준관심단계주의단계경계단계2-MIB지오스민2-MIB지오스민2-MIB지오스민
특히 지난해 8월 22일 팔당호 녹조 증가로 조류경보가 발령됐으나, 서울시는 이틀 전인 8월 20일 ‘맛·냄새 물질 경보’를 발령했다. 이후 고도정수처리 강화 등 선제 대응 조치로 냄새 물질을 완벽히 제거해 단 한 건의 민원도 발생하지 않았다.
‘맛·냄새 물질 경보제’는 상수원에서 곰팡이 냄새를 유발하는 2-메틸이소보르네올(2-MIB)과 흙냄새를 유발하는 지오스민(Geosmin)의 발생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경보를 발령하게 된다.
서울시 ‘맛·냄새 물질 경보제’ 발령 기준
냄새물질(ng/L) | 20 | 100 | 50 | 200 | 100 | 300 |
특히 지난해 8월 22일 팔당호 녹조 증가로 조류경보가 발령됐으나, 서울시는 이틀 전인 8월 20일 ‘맛·냄새 물질 경보’를 발령했다. 이후 고도정수처리 강화 등 선제 대응 조치로 냄새 물질을 완벽히 제거해 단 한 건의 민원도 발생하지 않았다.
수돗물 생산과정
![](https://blog.kakaocdn.net/dn/ebyKmN/btsMdJr5ug7/2kDMvUONYAT1vb8e07YXp1/img.png)
고도정수처리 : 기존 표준정수처리 공정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맛·냄새 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오존, 입상활성탄 공정을 추가한 공정
![](https://blog.kakaocdn.net/dn/ebyKmN/btsMdJr5ug7/2kDMvUONYAT1vb8e07YXp1/img.png)
시는 이렇게 엄격한 수질검사, 물맛·냄새 관리와 더불어 아리수가 시민들에게 공급되는 배급수 과정에서도 총 521개 지점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자동 측정하고 있으며, 측정 결과는 서울아리수본부 누리집과 아리수맵을 통해 시민에게 공개하고 있다.
우리집 아리수 수질이 궁금하다면 무료 수질검사 서비스인 ‘아리수 품질확인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신청은 다산콜재단(02-120), 관할 수도사업소, 서울아리수본부 누리집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질검사가 가능하다.
1인 가구 및 맞벌이 등으로 낮 시간대에 방문 수질검사가 어려운 시민을 위해 사전 예약을 통해 평일은 오후 9시까지, 공휴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야간과 주말에도 수질검사 서비스를 제공한다.
거주지별 관할 수도사업소
중구·종로구·용산구·성북구 | 중부수도사업소 | 02-3146-2000 |
은평구·서대문구·마포구 | 서부수도사업소 | 02-3146-3500 |
성동구·광진구·중랑구·동대문구 | 동부수도사업소 | 02-3146-2600 |
노원구·강북구·도봉구 | 북부수도사업소 | 02-3146-3200 |
양천구·강서구·구로구 | 강서수도사업소 | 02-3146-3800 |
관악구·동작구·영등포구·금천구 | 남부수도사업소 | 02-3146-4400 |
강남구·서초구 | 강남수도사업소 | 02-3146-4700 |
송파구·강동구 | 강동수도사업소 | 02-3146-5000 |
아리수 품질 확인제 수질검사 온라인 신청
출처:서울특별시, 내 손안에 서울
반응형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새로운 옷을 입다 '도시경관 개선사업' 어떻게 바뀌었을까? (0) | 2025.02.13 |
---|---|
서울형 긴급복지 가동! 사각지대 없애고, 위기가구 지원 (0) | 2025.02.13 |
책 읽으며 외로움 극복! '마음여행 독서챌린지' 추첨해 선물 (0) | 2025.02.12 |
'AI 서울 2025'에서 인공지능 강국의 중심, 서울을 그리다 (0) | 2025.02.12 |
정원사 가방 속 필수템, 내 손으로 뚝딱뚝딱! (ft. 매력·동행가든)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