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기후동행카드 찍고 하남시까지! 5호선 4개역 확대 적용

by 여.일.정.남 2025. 2. 7.
반응형
'기후동행카드'의 이용범위가 하남시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서울 대중교통 이용자의 필수품 ‘기후동행카드’의 이용범위가 더 넓어졌습니다! 하남시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향후 ‘미사역’, ‘하남풍산역’, ‘하남시청역’, ‘하남검단산역’ 등 하남 지역 주요 역사에서도 무제한 승차가 가능해집니다. 매일 지하철을 이용해 두 도시를 오가는 하남시민 약 3만명이 직접적인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이용 가능 구간 등 자세한 내용 안내합니다.
서울시민을 넘어 수도권 주민의 대중교통 혁신 서비스로 거듭나고 있는 ‘기후동행카드’의 이용범위가 하남시까지 확대된다. 하남 지역 주요 역사인 ‘미사역’, ‘하남풍산역’, ‘하남시청역’, ‘하남검단산역’에서도 기후동행카드로 무제한 승차가 가능할 전망이다.

서울시는 2월 6일 ‘서울시-하남시 기후동행카드 사업 참여 업무협약’을 맺고 양도시 간 광역교통 협력 강화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기후동행카드의 하남시 협약을 통해 서울과 공동생활권을 이루고 있는 32만 하남시민이 출퇴근을 포함한 필수 이동 시 무제한 대중교통의 편리함을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하남시에서 기후동행카드 이용이 가능해지면 ‘남양주시’, ‘구리시’ 등 서울 인접 경기 동부권 주요 도시가 기후동행카드를 통해 하나의 교통 생활권으로 묶이는 결실을 맺게 된다.

현재 하남시를 경유하는 서울 면허 시내버스 6개 노선(342, 3217, 3316, 3318, 3323, 3413)는 이미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가능하다.
서울 외 지역 기후동행카드 이용 가능 도시철도 구간
도입 초반부터 시민들의 큰 사랑을 받고 있는 ‘기후동행카드’는 현재까지 누적 충전 756만 건, 활성화 카드 수 70만 장, 일 평균 사용자 수 60만 명이라는 기록을 달성하고 있다.

서울 대중교통 이용자 7명 중 1명은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셈으로 이용자들은 월평균 교통비 약 3만 원을 절감하는 등 명실상부 서울시 대표 대중교통 정책으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다.

지난해 7월 출시한 기후동행카드 단기권 5종(1,2,3,5,7일권)도 인기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들의 이용률이 높은데 지난 12월 말 기준 총 48만 7천 건 충전 중 외국어 충전 비율이 75%에 달할 정도로 이제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기후동행카드는 없어선 안 될 서울 여행 필수품이 되고 있다.
서울 외 지역 기후동행카드 이용 가능 도시철도 구간
연번지역노선기후동행카드 이용 가능 구간적용일
1 김포시 김포골드라인 ▪ 모든 역(10개) ’24.3.30.
2 구리시 별내선 ▪ 3개 역 : 장자호수공원, 구리, 동구릉 ’24.8.10.
3 남양주시 별내선 ▪ 6개 역 : 암사역사공원, 장자호수공원, 구리, 동구릉, 다산, 별내 ’24.8.10.
4 고양시 3호선 ▪ 10개 역 : 삼송, 원흥, 원당, 화정, 대곡, 백석, 마두, 정발산, 주엽, 대화 ’24.11.30.
경의중앙선 ▪ 10개 역 : 한국항공대, 강매, 행신, 능곡, 대곡, 곡산, 백마, 풍산, 일산, 탄현
서해선 ▪ 6개 역 : 일산, 풍산, 백마, 곡산, 대곡, 능곡
5 과천시 4호선 ▪ 5개 역 : 선바위, 경마공원, 대공원, 과천, 정부과천청사 ’24.11.30.
6 부천시 7호선 ▪ 6개 역 : 까치울, 부천종합운동장, 춘의, 신중동, 부천시청, 상동
※ 하차만 가능
’24.1.27.
7 인천시
(부평구)
7호선 ▪ 5개 역 : 삼산체육관, 굴포천, 부평구청, 산곡, 석남
※ 하차만 가능
’24.1.27.
8 성남시 8호선 ▪ 7개 역 : 남위례, 산성, 남한산성입구, 수진, 단대오거리, 신흥, 모란 ’24.1.27.
9 하남시 5호선 ▪ 4개 역 : 미사, 하남검단산, 하남시청, 하남풍산
※ 하차만 가능
’24.1.27.

출처:서울특별시, 내 손안에 서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