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옛 화랑대역 활용 전시공간…폐역 모형·히로시마 전차 전시

옛 화랑대역의 모습을 축소해서 재현한 철도 디오라마 ©이진형
기차 여행을 하며 듣기 좋은 노래로 '춘천 가는 기차'가 있다. 노랫말 중에서 "힘들게 올라탄 기차는 어딘고 하니 춘천행"이라는 부분이 좋았다. 춘천은 서울에서 출발해도 부담되지 않은 거리고 당일치기 여행이 가능했다.
과거의 춘천행 통일호 또는 무궁화호 일반 열차는 서울의 마지막 간이역인 옛 화랑대역에도 도착했다. 바로 그 2010년 12월 이전의 간이역의 모습을 재현한 디오라마를 볼 수 있는 전시공간이 있어 추억을 꺼내 볼 겸 '화랑대 철도공원'을 찾았다.
과거의 춘천행 통일호 또는 무궁화호 일반 열차는 서울의 마지막 간이역인 옛 화랑대역에도 도착했다. 바로 그 2010년 12월 이전의 간이역의 모습을 재현한 디오라마를 볼 수 있는 전시공간이 있어 추억을 꺼내 볼 겸 '화랑대 철도공원'을 찾았다.

과거 경춘선의 화랑대역이 철도 관련 자료를 전시하는 화랑대역사관이 되었다. ©이진형
역사관이 된 서울의 마지막 간이역
경춘선 복선화 사업을 완성하기 전까지 경춘선의 화랑대역을 몇 번 이용한 적이 있었다. 영업개시와 함께 태릉역이라 불렀던 시기도 있었지만 육군사관학교와 가깝게 있어 별칭을 역명에 붙인 '화랑대'가 어울렸다. 박공지붕 아래 맞이방과 매표소를 둔 역사 내부는 철도와 관련된 자료를 전시하는 화랑대역사관(등록문화재 제300호 화랑대역)이 되었다.
화랑대역사관 내에는 경춘선 화랑대역처럼 선로 이전이나 역사 신축으로 인해 폐역이 된 역을 축소된 모형 건축물로 소개하는 전시공간이 있다. 역의 구조를 보며 비교해 볼 수 있었는데, 강촌역은 승강장의 위치나 구조의 특이한 점을 전했다.
역사관 내부에는 매표 공간이 남아있는데 나무로 짠 두 개의 서랍도 작은 전시공간으로 활용한 점이 눈길을 끈다. 두꺼운 마분지에 승차에 필요한 정보만 인쇄한 에드몬슨식 승차권과 월 단위로 구간별 이용 시 할인을 적용하는 정기승차권을 볼 수 있었다.
역사관 내부에는 매표 공간이 남아있는데 나무로 짠 두 개의 서랍도 작은 전시공간으로 활용한 점이 눈길을 끈다. 두꺼운 마분지에 승차에 필요한 정보만 인쇄한 에드몬슨식 승차권과 월 단위로 구간별 이용 시 할인을 적용하는 정기승차권을 볼 수 있었다.
화랑대역사관 내부에 전시된 무궁화호 행선판은 종착역이 남춘천역임을 알린다. 화랑대 철도공원에는 무궁화호 객차가 전시되어 있다. 당시엔 단선 철로를 따라 운행했기 때문에 열차 교행이 필요했다. 맞은편에서 열차가 승강장까지 진입할 때까지 기다려야 안전하게 교행을 이어갈 수 있는 화랑대역이었다. 현재 상봉역에서 출발하는 경춘선 전동열차는 춘천역까지 운행하는데 복선 철로를 따라 운행하기 때문에 약 30분 정도 운행시간이 단축되었다.

경춘선 시간여행을 떠나보는 화랑대역사관 ©이진형
역사관 내부에 두 종의 방문 기념 스탬프가 있다. 초록색 잉크로 찍힌 결과물에는 노원구의 둘레산천길을 알리며 노면 전차가 있는 철도공원의 모습을 전한다. 서울에서 전차가 사라진 1969년에 히로시마 시내에서 운행을 시작한 중고 전차가 전시 중이다. 전차는 2017년까지 현역으로 지내다가 퇴역 후 서울에 도착해 철도공원 방문객들의 쉼터가 되었다. 전차 내부에서는 수동식 장치를 하나씩 찾아보는 재미도 있다.
서울에서 철길의 원형이 가장 길게 남아있는 이곳에서는 나란히 전시된 협궤(762mm)와 표준궤(1,435mm)도 볼 수 있다. 레일 사이가 좁은 협궤를 따라 운행하는 열차 내부도 폭이 좁다. 화랑대 철도공원에 전시된 협궤열차도 내부가 개방되어 나무로 만든 좌석에 앉아볼 수 있는데 이야기를 나누거나, 개인마다 준비한 책을 읽어보기 적당하다.
철도차량을 전시하면서 내부까지 공개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이곳은 프라하 시내를 달렸을 체코 트램 내부를 어린이를 위한 특화된 공간으로 꾸몄다. 그림책을 포함한 어린이 도서를 꺼내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곳 화랑대 철도공원이 꽃동산으로 변하기 시작할 때 방문객도 증가한다. 만개한 벚나무 아래 자리 잡은 트램이 전하는 봄 느낌을 사람들은 잊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곳 화랑대 철도공원이 꽃동산으로 변하기 시작할 때 방문객도 증가한다. 만개한 벚나무 아래 자리 잡은 트램이 전하는 봄 느낌을 사람들은 잊지 않았기 때문이다.
화랑대 철도공원
○ 위치 :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29-51
○ 교통 : 지하철 6호선 화랑대역 2번 출구에서 도보 10분
○ 운영시간 : 24시간 운영(연중무휴)
- 화랑대역사관 : 화~일요일 10:00~18:00
- 트램도서관 : 화~일요일 10:00~19:00
- 히로시마 기차 : 화~일요일 10:00~22:00
- 노원불빛정원 : 화~일요일 일몰 전 30분~22:00
- 카페 기차가 있는 풍경 : 화~일요일 11:00~21:00
- 경춘선 숲길 갤러리 : 화~일요일 14:00~20:00(토·일요일 12:00 오픈)
- 타임뮤지엄 : 화~일요일 10:00~19:00
- 노원기차마을 : 화~일요일 10:00~19:00
○ 주의사항 : 개방된 기차 내부에서 음식물 취식 금지
○ 문의 : 02-2116-0545
○ 교통 : 지하철 6호선 화랑대역 2번 출구에서 도보 10분
○ 운영시간 : 24시간 운영(연중무휴)
- 화랑대역사관 : 화~일요일 10:00~18:00
- 트램도서관 : 화~일요일 10:00~19:00
- 히로시마 기차 : 화~일요일 10:00~22:00
- 노원불빛정원 : 화~일요일 일몰 전 30분~22:00
- 카페 기차가 있는 풍경 : 화~일요일 11:00~21:00
- 경춘선 숲길 갤러리 : 화~일요일 14:00~20:00(토·일요일 12:00 오픈)
- 타임뮤지엄 : 화~일요일 10:00~19:00
- 노원기차마을 : 화~일요일 10:00~19:00
○ 주의사항 : 개방된 기차 내부에서 음식물 취식 금지
○ 문의 : 02-2116-0545
출처:서울특별시, 내 손안에 서울
반응형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장년 터닝포인트 '인생디자인학교'에서…4개월간 무료 교육 (0) | 2025.03.28 |
---|---|
4월 중장년 채용설명회 총정리! 대기업·중소기업 대거 참여 (1) | 2025.03.28 |
시와 예술 따라 걷는 종로 산책 코스! 무계원~윤동주문학관~청운문학도서관 (0) | 2025.03.28 |
'미리내집'이 궁금해? '마곡 베이비페어'에서 만나요 (1) | 2025.03.28 |
전기이륜차 보조금 지원규모 2배로 확대! 4월 1일 접수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