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울시는 난임시술비 지원 횟수를 늘리고 시술 중단 시에도 의료비를 지원하는 등 난임시술비 지원을 확대한다.
서울시는 11월 1일부터 난임시술비 지원 횟수 확대, 시술 중단 의료비 지원 등 난임시술비 지원을 확대한다. 올해 2월 지원 횟수 확대, 난임지원금 연령차등 폐지 등을 포함하여 한 차례 확대한 데 이어 이번에 지원 횟수와 항목을 추가 확대키로 한 것이다. ☞ [관련 기사] 회당 최대 110만원…난임시술비 지원 '거주요건·연령차등' 폐지
올해 9월까지 시가 지원한 난임시술이 전년 대비 61.8% 늘었고, 8월에는 ‘5명 중 1명(20.2%)’이 난임시술로 태어나는 등 ‘난임지원 사업’이 출산을 간절히 원하는 부부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올해 9월까지 시가 지원한 난임시술이 전년 대비 61.8% 늘었고, 8월에는 ‘5명 중 1명(20.2%)’이 난임시술로 태어나는 등 ‘난임지원 사업’이 출산을 간절히 원하는 부부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시술 지원횟수, 출산 당 25회로…시술 실패 등 중단 시에도 지원
기존에 ‘난임부부 당’ 생애 총 25회로 제한됐던 시술 지원이 앞으로는 ‘출산 당’ 25회로 확대된다. 예컨대 난임시술로 첫 아이를 가지면서 최대 지원횟수 25회 모두 지원받았다 하더라도 둘째, 셋째를 갖고자 할 때에 아이마다 25회씩 지원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당초에 45세 이상은 50%, 44세 이하는 30%로 차등 부담해 왔던 ‘건강보험 급여 본인부담금’도 이제 연령 관계 없이 모두 30%만 본인 부담하면 된다.
또 난임시술 과정에서 공난포·미성숙 난자 등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시술에 실패하거나 중단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경우에도 난임시술 중에 부담했던 시술비를 횟수 제한 없이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난임시술비는 서류 제출 후 자격확인 절차를 거쳐 지원받을 수 있다. 정부24, e보건소공공포털, 또는 거주지 관할 보건소를 통해 상담부터 신청까지 가능하다.
당초에 45세 이상은 50%, 44세 이하는 30%로 차등 부담해 왔던 ‘건강보험 급여 본인부담금’도 이제 연령 관계 없이 모두 30%만 본인 부담하면 된다.
또 난임시술 과정에서 공난포·미성숙 난자 등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시술에 실패하거나 중단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경우에도 난임시술 중에 부담했던 시술비를 횟수 제한 없이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난임시술비는 서류 제출 후 자격확인 절차를 거쳐 지원받을 수 있다. 정부24, e보건소공공포털, 또는 거주지 관할 보건소를 통해 상담부터 신청까지 가능하다.
※ 난임시설 지원 정보 확인 방법
- 서울시임신출산정보센터→ 유용한 정보→ 자료실(지원내용, 신청방법 및 지원절차, Q&A, 거주지 보건소 상담 전화)
- 거주지 보건소 전화 또는 방문 상담 (하단 상담처 자료 참고)
- 120다산콜센터(02-120) 전화 상담
- 서울시임신출산정보센터→ 유용한 정보→ 자료실(지원내용, 신청방법 및 지원절차, Q&A, 거주지 보건소 상담 전화)
- 거주지 보건소 전화 또는 방문 상담 (하단 상담처 자료 참고)
- 120다산콜센터(02-120) 전화 상담
난임시술비 지원건수 61.8% 증가…난임시술 출생아 비율↑
올해 들어 서울시의 난임시술비 지원 건수는 37,918건(9월 말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61.8%(2023년 1~9월 23,432건→ 2024년 1~9월 37,918건)로 증가했다.
또 올 9월까지 서울에서 태어난 ‘난임시술 지원 출생아 수’는 5,017명으로, 서울 전체 출생아(31,695명)의 15.8%를 차지했다. 시는 난임시술 지원을 확대했던 작년 7월 이후 임신에 성공한 아기가 올해 3~4월부터 태어나기 시작하면서 올해 난임시술 출생아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올 9월까지 서울에서 태어난 ‘난임시술 지원 출생아 수’는 5,017명으로, 서울 전체 출생아(31,695명)의 15.8%를 차지했다. 시는 난임시술 지원을 확대했던 작년 7월 이후 임신에 성공한 아기가 올해 3~4월부터 태어나기 시작하면서 올해 난임시술 출생아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 난임시술 지원
○ 지원대상: 서울시 거주 난임부부(사실혼 포함) ※ 부부 중 여성 난임자의 주민등록 거주 확인
○ 지원횟수: 출산당 25회 (신선배아, 동결배아, 인공수정)
○ 지원금액지원대상(시술 횟수)시술종류1회당 지원 상한액현 행(연령 차등 지원)확대 시행 시*(연령 차등 폐지)44세 이하45세 이상
*연령 차등 폐지 시행 : 사회보장제도 변경 협의 완료 후 시행(2024.2.1.부터 소급 적용)
○ 신청방법 : 온라인 또는 보건소 방문
- 온라인: 정부24, e보건소공공포털
- 보건소 방문: 주민등록 거주지 보건소
○ 문의 : 다산콜센터 02-120 혹은 자치구별 상담처
○ 지원횟수: 출산당 25회 (신선배아, 동결배아, 인공수정)
○ 지원금액지원대상(시술 횟수)시술종류1회당 지원 상한액현 행(연령 차등 지원)확대 시행 시*(연령 차등 폐지)44세 이하45세 이상
서울시 거주 모든 난임부부 (출산당 25회) |
신선배아 | 110만원 | 90만원 | 110만원 |
동결배아 | 50만원 | 40만원 | 50만원 | |
인공수정 | 30만원 | 20만원 | 30만원 |
○ 신청방법 : 온라인 또는 보건소 방문
- 온라인: 정부24, e보건소공공포털
- 보건소 방문: 주민등록 거주지 보건소
○ 문의 : 다산콜센터 02-120 혹은 자치구별 상담처
※ 자치구별 난임지원 확대 시행 안내 및 상담처연번자치구부 서 명연락처
1 | 종로구 | 건강증진과 가족건강팀 | 2148-3593 |
2 | 중구 | 지역보건과 모자보건팀 | 3396-6357 |
3 | 용산구 | 건강관리과 모자보건팀 | 2199-8077 |
4 | 성동구 | 건강관리과 가정건강팀 | 2286-7089 |
5 | 광진구 | 건강관리과 가족건강팀 | 450-1967 |
6 | 동대문구 | 건강관리과 가족건강팀 | 2127-5186 |
7 | 중랑구 | 건강증진과 모자보건팀 | 2094-0874 |
8 | 성북구 | 건강관리과 모자보건팀 | 2241-6003 |
9 | 강북구 | 지역보건과 가족건강팀 | 901-7765 |
10 | 도봉구 | 지역보건과 모자보건팀 | 2091-4553 |
11 | 노원구 | 생활보건과 모자보건팀 | 2116-4364 |
12 | 은평구 | 예방관리과 가족건강팀 | 351-8235 |
13 | 서대문구 | 지역건강과 모자보건팀 | 330-1785 |
14 | 마포구 | 건강동행과 햇빛센터팀 | 3153-9088 |
15 | 양천구 | 지역보건과 모자보건팀 | 2620-3834 |
16 | 강서구 | 건강관리과 모자보건팀 | 2600-5893 |
17 | 구로구 | 건강증진과 모자보건팀 | 860-3251 |
18 | 금천구 | 의약과 모자보건팀 | 2627-2675 |
19 | 영등포구 | 건강증진과 모자보건팀 | 2670-4744 |
20 | 동작구 | 건강증진과 모자건강팀 | 820-9579 |
21 | 관악구 | 지역보건과 모자보건팀 | 879-7153 |
22 | 서초구 | 건강관리과 모자보건팀 | 2155-8365 |
23 | 강남구 | 건강관리과 모자건강팀 | 3423-7105 |
24 | 송파구 | 생애건강과 모자보건팀 | 2147-5020 |
25 | 강동구 | 건강증진과 가족건강팀 | 3425-6687 |
출처:서울특별시, 내 손안에 서울
반응형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의 힘, 밥심…아주 오래전부터 '이곳'에서 키웠다! (2) | 2024.10.31 |
---|---|
누구나 보기 쉬운 디자인 '새 지하철 노선도' 레드닷 수상 쾌거! (2) | 2024.10.31 |
돌봄 상담은 '☎120+3'으로! 11월부터 전문콜센터 운영 (0) | 2024.10.31 |
농민 128만명에 기본형 공익직접지불금 2조 3000억원 지급 (1) | 2024.10.30 |
지방공무원 육아휴직수당 150만 원 → 최대 250만 원으로 (6) | 2024.10.30 |